2022년 PSAT 시험일 7월 23일(토)
7급 국가직 시험이 한달도 안남았네요
이제 7급 국가직 시험을 보려면 PSAT 준비는 필수라는거 알고계시나요?
7급 국가직 필기시험에서 국어 과목이 폐지된 대신 PSAT이라는 시험이 도입되었어요
1차 필기시험인 피셋시험을 합격해야 2차 전문과목 필기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져요
그러니 피셋 시험에 꼭 합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PSAT = 공직적격성평가(Public Service Aptitude Test)
피셋은 쉽게말해 대기업 채용시험에서의 적성평가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로스쿨시험 LEET나 공기업채용의 NCS도 유사합니다
PSAT은 기존에 5급 공무원 시험이나 7급 민간경력채용에서 진행되었는데
작년 2021년부터 국가직 7급 공채시험에도 도입되었답니다
7급 PSAT은 언어논리·자료해석·상황판단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각 영역별로 25문항씩 총 75문항이 출제됩니다
40점 미만 영역이 있을 경우에는 불합격 처리되고 (과락)
불합격자를 제외하고 선발예정인원의 10배수 범위에서 고득점자 순서로 합격자가 결정됩니다
(사실 10배수 범위라고 알려져는 있으나 작년에는 7배수 정도로 뽑았다죠,,,,)
7급 PSAT은 2021년부터 도입되었으니 올해가 2회차 시험이 되겠네요
작년 첫시험 후기로는 난이도가 5급 피셋보다는 쉬웠고 민간경력채용보다는 어려운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2022년 7급 PSAT 개편사항 발생
다만 올해부터 급작스럽게 변경된 점이 있는데요 바로 시험시간입니다!
한과목에 60분씩 총 180분의 시험시간은 동일하지만
기존에는 3교시에 나누어 치루던 시험을 2교시에 나누어 치루게 되었어요
장시간 시험으로 인한 수험생 부담을 줄이기위해서 올해부터 시험시간이 변경되었다고 하네요
<기존>
1교시 : 10:00 ~ 11:00 총 60분 언어논리
2교시 : 12:00 ~ 13:00 총 60분 자료해석
3교시 : 15:00 ~ 16:00 총 60분 상황판단
<변경>
1교시 : 13:30 ~ 15:30 총 120분 언어논리+상황판단
2교시 : 16:30 ~ 17:30 총 60분 자료해석
이렇게되면 언어논리와 상황판단이 1개 문제책에 합본되어있기 때문에
꼭 언어논리와 상황판단을 각각 60분씩 나누어 풀지 않아도 되는데요
변경된 시험시간에 맞춰서 실전 문제풀이 연습을 미리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PSAT 문항은 정해진 시간내에 빠르게 풀어내는것이 관건이기 때문에 모의연습은 필수입니다!
7급 원서접수 현황, 평균경쟁률 42.7:1
7급 국가직 응시원서 접수는 이미 마감된 상태죠
올해 선발예정인원은 785명인데 원서접수는 총 33,527명이 했다고 합니다
즉, 평균 경쟁률은 42.7대 1이 되겠네요.
하지만 결시인원이 분명히 있기 때문에 실질경쟁률은 더 낮아진다고 봐야해요
2021년 7급 PSAT 합격선 낮아! 올해는?


작년 7급 피셋의 합격선을 보면 점수대는 그리 높지 않아보입니다
아무래도 첫시험이라 혼란스럽기도 했을테고
매우 쉬운 수준으로 출제된 것은 아니라 수험생들이 많이 당황했을 것 같아요
사실 PSAT형 인간 이라는 말이 나올만큼 PSAT같은 적성검사 문항에 강점이 있는 수험생이라면
한달정도로도 충분히 성적상승은 가능합니다
피셋 문항은 시간만 있으면 누구나 다 풀 수는 있는데
정해진 시간 안에 푸는 건 누구나 할 수 없다고 해요
한달동안 영역별로 풀이요령을 익혀보시면 어떨까요
다가오는 7급 피셋 시험의 정확한 시험장소는 7월 15일에 사이버국가고시에 공고될 예정입니다
이제 막 7급 국가직에 도입된 PSAT 시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앞으로 7급 지방직에도 PSAT이 도입될 가능성도 있으니
7급 공무원을 준비할 예정이라면 PSAT을 미리 공부해두시면 조금 더 유리하겠네요
'시험정보 > 공무원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회에서 일하는 국회직 공무원이란? (0) | 2023.04.11 |
---|---|
지방교육청 교육행정직 필기합격자 및 합격선 발표일 (0) | 2022.07.07 |
2022 하반기 경찰공무원 원서접수 계획 (0) | 2022.06.29 |
2022년 지방직 합격컷 예상 (0) | 2022.06.24 |
2022년도 법원직 공무원 알아보기 (0) | 2022.06.23 |
댓글